이지론 대부중개 2023-서울송파-0022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25. 04. 29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2「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3「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4「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5「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6「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7「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8「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9「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0「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1「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2「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3「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4「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5「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6「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7「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8「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19「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이미지 20 ◈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금융이해력은 65.7점으로 2022년 조사(66.5점) 대비 소폭 하락nn * 만 18~79세 성인 2,400명에게 합리적이고 건전한 금융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태도 등 금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면접 설문조사nn ㅇ 부문별로는 금융태도(53.7점)가 2022년에 비해 1.3점 상승한 반면 금융지식(73.6점)과 금융행위(64.7점)는 각각 1.9점 및 1.1점 하락nn - 금융지식 항목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 점수가 큰 폭 하락하면서 전체 금융이해력 점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nn * 지난해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관심도 하락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해당 항목 점수를 직전 조사인 2022년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금융이해력 점수는 66.7점(+1.0점)으로 2022년 대비 0.2점 상승nn ㅇ 응답자별로는 20대,70대, 저소득, 고졸 미만 등의 금융이해력이 취약한 가운데 특히 20대 청년층의 점수가 금융행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nn→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향후 취약 부문에 대해 맞춤형 콘텐츠를 확충하고 교육역량을 집중하는 등 금융,경제교육의 실효성을 높여 나갈 계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이지론

금융 뉴스다른 글 더보기